3월 23일 공과 - 에스더
에스더 4 : 11-17 “하나님께 캐스팅 된 사람 (3) 에스더”
11 남자든지 여자든지 왕이 부르시지 않으면 안뜰로 들어갈 수 없습니다. 이를 어기는 사람은 죽게 되어 있습니다. 이것은 왕의 신하들과 왕이 다스리는 각 지방의 백성들이 다 아는 사실입니다. 다만 왕이 금홀을 내밀 때만 그 사람은 살 수 있습니다. 그런데 왕이 나를 부르지 않으신 지 벌써 삼십 일이나 되었습니다.“
12 에스더의 말이 모르드개에게 전해졌습니다.
13 그러자 모르드개가 다시 사람을 시켜 에스더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전했습니다. "지금 왕비께서 왕궁에 살고 계신 다고 하여, 다른 유다인이 다 당할 일을 왕비께서만 피하실 수 있다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14 지금 왕비가 잠잠히 있다 해도 다른 사람의 도움으로 유다인은 해방과 구원을 얻을 것입니다. 그러나 왕비와 왕비 의 집안은 멸망을 당할 것입니다. 왕비가 지금 왕비의 자리에 오른 것도, 바로 이런 때를 위한 것인지 누가 압니 까?"
15 그러자 에스더가 다시 그들을 시켜 모르드개에게 전했습니다.
16 "가서 수산 성에 있는 유다인들을 다 모으고 나를 위해 금식하게 하십시오. 밤낮으로 삼 일 동안 먹지 말고, 마시 지도 말게 하십시오. 나와 내 여종들도 금식하겠습니다. 그런 뒤에 법을 어기고서라도 왕에게 나아가겠습니다. 그 러다가 죽게 되면 죽겠습니다."
17 모르드개는 나가서 에스더가 일러 준 대로 했습니다.
오늘의 말씀의 해설
“하나님이란 단어는 없는, 그러나 신실하게 이스라엘을 지키셨던 하나님의 역사를 담은 이야기” 에스더는 성경의 역사서의 마지막 책입니다. (역사서 : 여호수아~에스더) 에스더의 특징은 다른 성경과는 다르게 “하나님, 야훼”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에스더가 구약의 한 부분을 차지 할 수 있었던 것은 역사 가운데서 이스라엘의 구원을 주관한 그 신실하심을 나타내기 때문입니다. 에스더는 고대 페르시아 제국의 황제 “아하수에로”의 왕후입니다. 그녀는 유대인이었고, 그녀의 삼촌 “모르드개” 또한 유대인이었습니다. 에스더는 지금도 이스라엘이 지키고 있는 유대 명절 중 하나인 “부림절”의 탄생 설화를 담고 있습니다. 부림절은 과거 “하만”이라는 페르시아의 대신의 음모에 이스라엘 백성들이 죽임을 당하게 되었을 때, 에스더의 결단으로 황제의 마음이 바뀌고, 도리어 그 음모를 꾸몄던 하만이 죽임을 당하게 되는, 이스라엘에게 있어서 가장 시원한 대역전극이 펼쳐진 날을 기념하는 절기입니다. 이 날에 아이들은 “하만의 귀”라는 과자를 먹으며, 할로윈 데이처럼 공포스러운 분장을 하고 절기를 지킵니다. 에스더서에 담긴 내용 중 중요한 포인트는 하만 한 사람으로 인해 모두가 죽을 위기에 처한 이스라엘이 에스더 한 사람의 결단으로 인해 모든 사람이 구원의 결과를 얻었다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에스더서를(꼭!) 읽어보기를 권합니다.) 그리고 그 에스더라는 한 사람의 결단이 있기까지 죽음에 처한 유대인을 구원하고자 하는 마음, 그리고 그 구원에 대한 확신을 가지고 있었던 모르드개라는 사람 덕분입니다. 모르드개는 혹시 이 모든 일들이 이 때(이스라엘을 구원하는 때)가 아니냐? 는 말로 에스더를 설득합니다. 에스더는 모르드개의 그 말을 듣고, 죽음을 각오하고 나아갑니다. 그렇게 했을 때에 도리어 하만의 악행이 실패를 하고, 모르드개와 이스라엘은 높임을 받고, 모르드개의 이름은 높아졌습니다, 우리의 죄악 속에서 죽음에 이른 우리의 삶의 구원의 클라이맥스(절정)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입니다. 우리의 삶에 이른 죄의 무서운 결과 속에서 그것을 기다릴 수 밖에 없는 우리의 삶 속에 예수님이 오셔서 십자가의 사랑으로 그 모든 죄를 사하시고, 우리를 구원하신 사건은 부림절과는 비교할 수 없는 구원의 절정이고, 엄청난 반전의 스토리입니다. 이스라엘의 구원을 위해 그녀를 왕후로 세우신 하나님, 그리고 온 인류의 영원한 구원을 위해 아들 예수 그리스도를 세상에 보내신 하나님, 그 분의 은혜의 역사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는 날마다 예수님이 우리의 죄를 위해 자기의 몸을 버리신 사랑과 희생을 날마다 날마다 기념하고 간직하는 그런 삶을 살아가야 합니다.
나눔 포인트
1. 이스라엘의 명절 중 하나인 “부림절”에 대해서 QR코드를 찍어 선생님들과 공부해보세요.
* QR코드 이용방법
1. 스마트폰 어플의 QR코드 인식이 가능한 어플을 실행합니다.
2. QR코드 인식 화면에 왼쪽의 QR코드를 맞춰서 인식시킵니다.
3. “URL연결”을 누르고 인터넷에 연결시킵니다.
4. 나오는 화면을 함께 읽습니다.
2. 모르드개와 이스라엘 백성은 어떤 위기에 처해 있었을까요?
3. 모르드개가 도움을 요청했을 때 에스더가 어떻게 반응했나요? (16절)
묵상 포인트
1. 에스더서에는 “하나님”이라는 단어가 나오지 않아요. 그럼에도 에스더서에는 하나님의 손길이 나타나 있답니다. 그것이 무엇인지 함께 각자의 생각을 나눠봅시다.
- 왕비의 교체, 하만으로 인한 이스라엘의 멸망위기, 에스더의 죽음의 결단과 이스라엘의 구원과 부림절. 이 모든 사건들을 큰 그림으로 보면 신실하게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를 볼 수가 있습니다. 14절에 모르드개가 “이 모든 것은 하나님이 구원을 위해 마련한 때이다. 에스더! 네가 하지 않으면 하나님은 다른 사람을 사용할거야! 네가 하기를 바란다.” 하는 말들을 통해 분명 모르드개도 이 상황들은 하나님이 이 구원을 위해 마련하신 하나님의 손길이라고 생각하는 것입니다. 맞습니다. 부림절은 분명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구원하신 구원의 날이고, 이것은 사단의 머리를 예수님의 발 아래 굴복하게 하셔서 우리의 모든 죄를 사하신, 그래서 그 십자가의 은혜를 믿는 자들에게 구원의 기쁨을 허락하신 지금의 우리에게도 이어지는 신실한 하나님의 구원의 이야기와 같은 이야기입니다.
2. 예수님도 에스더처럼 우리의 구원을 위해 “죽으면 죽으리라”하는 결단으로 십자가 앞으로 나아가셨습니다. 에스더의 결단으로 모든 이스라엘 백성이 구원을 얻었듯이 예수님의 결단으로 온 세상에는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요?
- 예수님은 온 인류의 죄를 대신하여 십자가에 달려 죽으셨습니다. 예수님은 마태복음 20:28에서 “인자가 온 것은 섬김을 받으려 함이 아니라 도리어 섬기려 하고 자기 목숨을 많은 사람의 대속물로 주려 함이니라.”하는 결단을 하십니다. 이런 주님의 결단으로 인해 많은 죄인들이 하나님의 사랑과 구원의 기쁨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 일을 여러분이 믿는 다면 그 기쁨이 여러분 안에도 함께 할 것입니다.
3. 우리가 주일예배를 통해서 기념해야 할 분은 무슨 일을 하신 누구일까요?
- 우리는 날마다 이 예수님의 구원을 기념해야 합니다. 우리가 예배드리는 목적입니다. 우리를 사랑하시는 하나님, 그 구원의 기쁨과 감격을 주시는 하나님을 날마다 사랑하고, 기념하는 것입니다. 오늘 그런 기쁨이, 부림절을 기쁨으로 지내는 이스라엘 백성들과 같이 넘치는 우리 초등2부가 되기를 바랍니다.
오늘의 기도
주님, 에스더에는 “하나님”이란 단어가 나오지 않는 성경책이지만, 그래도 에스더를 왕후로 세우시며 그녀를 선택하셔서 신실한 구원의 이야기를 쓰고 계셨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습니다. 주님, 예수님을 통해 지금도 많은 사람들을 구원하시는 하나님의 변하지 않는 사랑을 우리가 이제부터 예배 때마다 하나님을 높이기를 원합니다. 사랑해요 주님, 감사합니다. 예수님의 이름으로 기도했습니다. 아멘
오늘의 암송구절
16 당신은 가서 수산에 있는 유다인을 다 모으고 나를 위하여 금식하되 밤낮 삼 일을 먹지도 말고 마시지도 마소서 나도 나의 시녀와 더불어 이렇게 금식한 후에 규례를 어기고 왕에게 나아가리니 죽으면 죽으리이다 하니라